[매일경제] 2020/12/22 화요일
"'빚의 늪' 빠진 쌍용차, 최악땐 파산... 全임원 사표 배수진"

-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이후 11년만에 쌍용자동차가 현재 만기가 도래한 대출금을 다 갚을 경우 정상적인 사업 운영이 더 이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또다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 경영상황 악화로 쌍용자동차는 외국계 금융기관으로부터 600억원의 대출원리금을 연체하고, 산업은행에 대해서도 900억원의 연체금이 있지만 상환에 필요한 뚜렷한 계획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여기에 우리은행 대출금 150억원에 대한 만기도 도래했지만 갚지 못해 결국 회생신청이라는 최후의 카드를 꺼냈다.
- 회생절차는 통상 자본의 1/10 이상의 채권을 가진 채권자 혹은 자본의 1/10 이상의 주식 또는 지분을 가진 주주가 신청하기 때문에, 이번 회생신청도 쌍용차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그룹 측에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ARS프로그램(회생절차 개시 여부 보류결정 신청서)도 함께 신청했다. ARS는 법원이 채권자들의 의사를 확인한 후 회생절차 개시를 최대 3개월까지 연장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기간동안 이해관계자들 간의 합의를 유도하여 회생절차 신청을 향후 취하하면 회사는 다시 정상 기업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기업회생절차>
부채가 과도한 기업에게 재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
한 기업이 사업을 계속할만한 가치가 있지만 과잉투자나 금융사고 등의 문제로 인하여
부채를 영업이익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없을 경우 해당된다.
채무 일부를 탕감하거나 주식으로 전환하는 등 부채를 조정하여, 기업이 회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법원은 사업을 계속할 때 가치가 사업을 청산할 때 가치보다 크다고 인정되면 회생계획안을 받아 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채무가 변제되면 법원은 회생절차의 종결을 결정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IT공룡 잇단 '반도체 독립'에 美증시 초긴장"

-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대형 IT 기업들이 인텔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자사 내에서 반도체를 개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인텔의 주가가 급락하고 엔비디아의 입지도 불안정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 미국 시장은 반도체 설계 및 개발 위주이기 대문에 생산 대행(파운드리) 위주인 한국과 대만 시장(특히 한국 삼성전자와 대만 TSMC)이 이번 IT 대형 기업들의 자체 반도체 개발 소식에 힘입어 실적 강세가 예상된다는 전망이 있다.
- MS는 지난 18일 자사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서버 컴퓨터용 중앙처리장치(CPU)를 직접 개발한다고 했으며, 애플 역시 인텔, 퀄컴으로부터 독립하고자 자체 모뎀칩 개발을 밝혔다. 아마존은 현재 엔비디아 칩을 사서 사용중이지만 기술 독립을 추진하고 있고, 구글도 반도체 칩을 개발중, 페이스북은 이를 검토하고 있다.
*해당 기사에는 없지만 관련 용어들 정리
<팹리스>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판매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
종합반도체기업(IDM)과 달리 반도체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지 않다.
반대로 팹리스에서 주문과 설계 데이터를 받아 반도체 칩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파운드리(Foundry)라고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매일경제
<IDM>
반도체 업체의 한 종류로, 삼성전자, 하이닉스반도체, 인텔 등과 같이
제품에 자사 로고를 찍어서 판매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을 보유한 종합반도체업체를 말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지식경제용어사전
"1인당 600弗 현금풀고 항공사엔 일자리 지원금"

-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이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을 두고 지난 4월 4차 부양안 이후 계속 합의를 지속하다가 조 바이든 당선인의 당선 이후 교착상태가 풀려 20일 오후 9000억달러(한화 약 990조원) 규모의 코로나19 경기부양안에 최종 합의했다.
- 합의된 부양안의 내용을 살펴보면, 성인과 아동에게 모두 1인당 600달러를 지급하고 주당 300달러 규모의 추가 실업수당을 향후 11주간 지급하기로 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또한 중소기업의 고용 유지를 위한 급여보호프로그램(PPP) 예산 2800억달러와 코로나19로 해고된 항공사 급여 지원으로 150억달러가 책정되어 3만 2천명이 수혜대상이 되었다.
- 공화당은 이번 합의를 통해 차기 정권을 확보한 민주당의 압박에 맞서 지방정부 지원금을 배제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에 대한 견제권을 확보한 것이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연방준비제도>
미국 특유의 중앙은행제도로, 1913년 성립한 연방준비법에 의해 시행되었다.
미국 전역을 12개 연방준비구로 나누어 각 지구마다 연방준비은행을 두고,
이들 12개 준비은행에 은행권 발행의 독점권, 가맹은행의 법정지급준비금의 집중보관,
가맹은행에 대한 어음의 재할인, 공개시장조작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각 준비은행은 워싱턴에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의해 운영되고 통괄되는데,
이사회는 연방준비제도 전체의 중추기관이자 국회와 직결된 국가기관이며 대통령 하위 재무성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상원의 조언과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는 7명의 이사(임기 14년, 재임 불허, 2년마다 1명씩 교체)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공개시장정책을 담당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와 연방준비은행 대표 12명으로 구성되어
정책형성에 조언하는 연방자문회의가 있다.
금융기관 가운데 국법은행은 강제로, 주법은행은 일정 조건 충족 시
임의적으로 연방준비제도에 가맹하는데, 이를 가맹은행이라고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Economy > 매일경제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2020/12/28 월요일 (0) | 2020.12.28 |
---|---|
[매일경제] 2020/12/23 수요일 (0) | 2020.12.24 |
[매일경제] 2020/12/21 월요일 (0) | 2020.12.22 |
[매일경제] 2020/12/19 금요일 (0) | 2020.12.20 |
[매일경제] 2020/12/18 금요일 (0) | 2020.12.19 |